P R O J E C T S
Benefit Sharing & Acceptance

-('22)지역별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보방안 연구(A Study on how to ensure regional renewable energy acceptance)
-('21)수열에너지 공급 편익의 사회적 환원 시스템 구축 연구(A Study on establishing a social return system for hydrothermal energy supply benefits)
-('21)재생에너지 이익공유 중심 지자체 계획입지 모델 구상(Local planning Concept focused on Benefit Sharing)
-('20)재생에너지 투자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이익 공유 방안 연구(Economic Effect of Renewable Developments Projects: Shared Ownership and Benefit Sharing)
-('20)주민친화형 재생에너지사업 추진모델 개발 연구(Business Model Developments for Community Power Renewables)
-('15)신재생에너지 소비자 수용성 확보방안 연구(A Study on the Market Acceptance of Renewable Energy)
Sector Coupling (Energy System Analysis)

-('22)P2H를 활용한 마이크로그리드 비즈니스모델 개발 연구(A Study on microgrid business model development using Power to Heat(P2H)
-('20)2050년 한국 탈탄소 시나리오 : 섹터커플링의 역할(Deep Decarbonization of the Korea's Energy System)
‌-('19)지역난방+전기취사 결합 주택 수용성 분석 연구(Analysis on the acceptance of housing combined with district heating and electric cooking)
‌-('19)신기후체제 대응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열병합발전 역할 연구(Research on the Role of CHP by Responding to the New Climate System and Expanding Renewable Energy)
‌-('18)전기차 확대와 재생에너지 유연성 효과 분석 연구(A Research on Enhancement of Grid Flexibility through Electric Vehicle Expansion)
Wind Power(Offshore)

-('23) 육상풍력을 통한 지역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(Reginal Socio-economic impacts of onshore widn development - Focusing on Gangwon Province)
-('22)해상풍력의 지역경제 효과 분석(An analysis of the local socioeconomic impact of offshore wind power in Korea) 
-('21)해상풍력 이익공유 모델 수립방안 연구(Development of offshore wind benefit sharing model)
-('18)전략적 풍력단지 개발 및 주민수용성 제고를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(A Guideline for Strategic Wind Farm Development and Public Acceptance Improvement)
-('18)풍력시험평가단지 주민수용성 제고모델 개발 연구(Development of a Model for Enhancing Community Acceptance in the Wind farm Test Bed)
-('15)육상풍력 개발행위허가의 적정성 검토를 통한 합리적 가이드라인 연구(A Guideline for Onshore Wind Location)
Electricity Market & Industry

‌-('22)국내 전력산업의 미래지향적인 거버넌스 전략 도출(Deriving a future-oriented governance strategy for the Korean electricity industry)
-('21)유럽 전력시장의 재생에너지 도입 관련 제도변화 연구(A Study on changes in the European Electricity Market due to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)
‌-('20)재생에너지 친화적인 전력시장 개선을 위한 제언(How to Transform the Korean Electricity Market more Renewable Energy-Friendly)
-('17)전력산업의 도전과 대응을 위한 포지셔닝 연구(A Positioning Paper for Power Industry Respond to Energy Transition)
Renewable Policy

-('23)자가용 태양광 보급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(Socio-economic Impacts of Self-consumption Solar PV)
-('22)PPA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 연구(Policy research to improve the Power Purchase Agreement System)
-('20)한국의 태양광 개발 비용 요소 분석(Cost Factors of Solar Photovoltaic Investments in Korea)
-('20)지자체 계획입지 기반 태양광 단지조성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(Feasibility Study of Solar complex based on local planning)
-('18)지자체 공공부지 태양광 설치 정책연구(Strategy for Activating Public Solar Project for the Local Government)
-('18)농촌태양광(영농형 태양광)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연구(Policy Support for Development of  Agricultural PV)
-('18)자가용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연구(A Research on Promoting for On-site Renewable Energy)
-('16)신재생 융복합 효과 분석을 위한 모델링 연구(A Modeling Study for Effectiveness Analysis on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s)
-('16)지자체 에너지 프로슈머 및 분산자원 활성화 방안 연구(A Study for Activation of the Local Energy Prosumer Business and Distributed Resource)
-('16)신재생에너지 관련 법 개정에 관한 연구(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Laws related to Renewable Energy)
‌-녹색가격제도 도입방안 마련 연구(Green Pricing Program : How to Introduce in Korea)
-('15)서울시 집단에너지 공급체계 중 신재생에너지 활용 가능성(Feasibility Study of Using Renewable in District Heating System for Seoul)
Energy Transition & Carbon Neutral (Decarbonization)

-석유화학 산업 탄소중립 및 재생에너지 확대 방안 연구(연구중)
‌-('22~)농촌지역 기후, 에너지 위기 대응 지역재생 기술 개발(연구중)
‌-('21~)탄소중립 사회구현을 위한 수소 기반 에너지 체계 구축 방안 연구(연구중)
-('22)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K-Map 이행안(건물/수송부문)(2050 Climate Neutrality Roadmap for Korea K-Map Scenario: Policy, legislative and budgetary proposals to reach the 2030 K-Map goals)
-('22)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K-Map(2050 Climate Neutrality Roadmap for Korea K-Map Scenario)
‌-('21)사회혁신을 동반한 지역주도형 에너지전환 실현 가능성 연구(Feasibility of local-driven energy transition accompanied by 'social Innovation')
‌‌-('20)에너지전환을 위한 데이터 관리 연구(Data Management for Energy Transition:With a Focus on Renewable Energy)
-('20)농어촌 에너지전환 방안 연구(Research on Energy Transition Plan for Rural Community)
-('20)공정한 전환을 위한 한국적 맥락 탐색 : 석탄발전 부문을 중심으로(Understanding Social Context for a Just Transition in South Korea)
‌-('19)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:발전부문 석탄화력 감축을 중심으로(Speeding Up Energy Transition in Korea : Scenario Analysis of Reducing GHG in Electricity Sector)

C O M M U N I C A T I O N  &  R E S E A R C H
Communication

-(토론회) 탄소중립 시대의 기후 에너지 정책 방향과 과제(21.11.25)
-(기획세션) 해상풍력 입지선정단계의 합의형성(21.11.11)
-(토론회) 제6회 RE100포럼 - 문재인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평가와 향후 과제(21.8.24)
-(공동학술대회) 지방정부의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준비과정에서 법 정책 쟁점(21.7.2)
-(토론회) RPS 10년에 대한 평가와 향후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과제(21.7.1)
-(토론회)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방안 토론회(21.5.3)
-(토론회) 탄소중립 실현의 마중물, 기후대응기금의 바람직한 방향은?(21.4.29)
-(토론회)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 발표: 섹터커플링의 역할(21.3.11)
-(기자회견) 2021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제안서 발표(21.2.17)

-(토론회) 기후위기 대응 농어촌에너지 전환을 위한 법·제도 기반(20.10.27)
-(포럼) 농어촌지역 재생에너지 활성화 및 지역순환체계 구축 방안(20.8.24)
-(토론회)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사업 공공성 확대 방안 토론회(20.6.30)

-(토론회) 제5회 RE100포럼 - 탄소중립과 그린뉴딜을 위한 발전부문 전망과 과제(20.6.23)
-(세미나) 한국의 에너지전환 정책 가속화 전략(20.5.12)
-(토론회) 제4회 RE100포럼 - 해상풍력 10년, 새로운 바람을 찾다(19.11.21)
-(토론회) 미세먼지 문제해결과 에너지전환을 위한 열병합발전 역할(19.6.11)
-(특별세션) 재생에너지 3020 이행을 위한 도전 과제(19.5.23)
-(토론회) 제3회 RE100포럼 - 발전부문 탈석탄, 가능성을 말하다(19.3.27)
-(토론회) 제2회 RE100포럼 - 에너지전환 비용, 정말로 비싼가(19.2.20)
-(특별세션) 재생에너지와 CHP를 활용한 지역냉난방 확대(18.11.21)
-(토론회) 제1회 RE100포럼 - 태양광 가짜뉴스 오해와 진실(18.11.15)
-(특별세션) 주민참여형 태양광 사업 활성화 방안(18.4.19)
-(세미나) 독일 시민사회가 바라본 에너지 전환의 교훈과 시사점(18.3.21)
-(토론회)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진단과 이행 과제(17.12.18)
-(세미나) 발전용 연료전지의 쟁점과 과제(17.12.13)
-(토론회)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, 실현 가능한 새만금 정책 토론회(17.9.21)
-(특별세션) 새 정부 에너지 전환 정책의 대응 논리(17.9.7)
-(특별세션) 지역냉난방 연계 신재생에너지 열 공급 확대 방안(17.5.15)
Research Papers

-임현지, 윤성권 & 김윤성. (2023). 국내 재생에너지 주민참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- 분배적 참여와 절차적 참여를 중심으로. 환경법과 정책, 31(1), 91-123
-김윤성, 윤성권 & 임현지. (2023). 재생에너지 개발법 제정을 위한 기존 법체계 분석과 제안: 개발절차 정비와 주민수용성 제고를 중심으로, 강원법학, 70, 73-121
-Moon, H.; Lee, H.; Kim, B.; Kim, Y.  (2022). Urban Hydrogen Production Model Using Environmental Infrastructures to Achieve the Net Zero Goal. Energies 15, no. 24: 9293.
-Im, H., & Kwon, P.S (2022). Decarbonization scenarios for residential building sector in South Korea toward climate neutrality in 2050,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Energy, 41:11, 1888-1902
-임현지, 윤성권, 권필석, 문효동 & 김윤성. (2021).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원만한 이해관계자 협의를 위한 절차적 개선방향-어업손실보상 근거와 기준을 중심으로. 환경법과 정책, 27, 30-53.
-임현지, 윤성권, 윤태환 & 김윤성. (2021). 대규모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사업의 지역경제 활성화 평가지표 개발 연구. 신재생에너지, 17(2), 9-23.
-김윤성, 윤성권, 임현지 & 윤태환. (2021).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개발의 지역경제 기여효과:주민소득과 지역기업 매출을 중심으로. 신재생에너지, 17(1), 61-75.
-Kim, Y., & Lee, S (2020). Data on Winter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heat energy 
consumption in South Korea. Data in Brief, 30.
-Im, H., & Kim, Y (2020). The Electrification of Cooking Methods in Korea—Impact on Energy Use and Greenhouse Gas Emissions. Energies, 13, 680.
-윤성권 & 임현지 (2019). 재생에너지 기반 섹터커플링(부문간 연계)을 통한 기후변화 대응 연구. Journal of Climate Change Research, 10(2).
-윤성권, 김윤성, 문효동, 임현지 & 권필석. (2019).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을 위한 전기차 활용 방안 연구. 신재생에너지, 15(2), 74-80.
-임현지 & 윤순진 (2019). 태양광 발전시설 입지 갈등에 대한 기초지자체 이격거리 규제의 정책과정 분석. 신재생에너지, 15(2), 61-73.
-Kim, Y., & Lee, S (2019). Trends of extreme cold events in the central regions of Korea 
and their influence on the heating energy demand. Weather and Climate Extremes, 24.
-Kwon, P. S., & Kim, S (2018). Scenario Analysis for Achieving South Korea's Targets of 
the "3020 Renewable Energy Plan" in the Power Sector. Journal of Nanoelectronics and Optoelectronics, 13(9), 1402-1406.
-김윤성, 윤성권, & 이상훈 (2018). 남북 재생에너지 협력을 위한 전략과 정책적 과제. 환경법과 정책, 21, 131-165.
-이상훈, & 윤성권 (2015).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 제고 방안. 환경법과 정책, 15, 133-166.